![]()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선수들이 지난 13일(한국시간) 디트로이트 타이거즈를 꺾고 ALCS 진출을 확정한 뒤 기뻐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
올 시즌 개막일 기준으로 MLB 30개 구단의 팀 연봉 총액을 살펴보면 메츠, 양키스, 다저스가 각각 1~3위를 기록했다. 클리블랜드는 28위였다.
메츠와 양키스의 팀 연봉 총액은 3억 달러(약 4054억 원)가 넘는다. 반면 클리블랜드는 9300만 달러(약 1257억 원)에 불과해 메츠와 양키스의 3분의 1 수준이다.
팀 연봉 총액만 놓고 보면 클리블랜드의 2024 시즌은 기적이다. 클리블랜드는 올 시즌 AL 중부지구에서 92승 69패로 1위를 차지했다.
흥미롭게도 클리블랜드는 2년 전에도 기적을 만들었다. 당시 클리블랜드의 팀 연봉 총액은 27위(약 6600만 달러)였지만 AL 중부지구에서 우승을 거머쥐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의 젊은 선수들을 주축으로 돌풍을 일으켰던 클리블랜드는 AL 디비전 시리즈에서 당시 팀 연봉 총액 3위(약 2억 3900만 달러)였던 양키스에 패했다.
![]() |
뉴욕 양키스 선수들. /AFPBBNews=뉴스1 |
지난 20년(2004~2023년) 동안 개막일 기준으로 팀 연봉 총액 15위권 밖에 있던 팀이 월드시리즈 패권을 차지한 경우는 단 한 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 가설이 올 시즌에도 맞아 떨어진다면 1948년 이후 단 한 번도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하지 못한 클리블랜드의 '우승 가뭄'은 계속될 전망이다.
물론 지난 20년간 초저예산으로 월드 시리즈에 진출한 팀은 존재했다. 2008년과 2020년 각각 팀 연봉 총액 29위와 28위를 기록했던 탬파베이 레이스가 대표적이다. 1998년 창단한 탬파베이는 낮은 연봉이지만 팀 기여도가 좋은 젊은 선수를 육성해 21세기 '머니 볼' 야구의 대표 팀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탬파베이는 원조 머니 볼 구단인 오클랜드 애슬래틱스가 그랬듯 가을 야구에서는 결정적인 순간에 고개를 숙여야 했다. 근본적으로 탬파베이는 워낙 예산이 적은 구단이다 보니 가을 야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중량감 있는 선수를 트레이드로 모셔오기 힘든 구조였기 때문이다.
![]() |
LA 다저스 오타니 쇼헤이(오른쪽 2번째)가 14일(한국시간) 뉴욕 메츠와 NLCS 1차전에서 득점한 뒤 동료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AFPBBNews=뉴스1 |
![]() |
뉴욕 메츠 선수들. /AFPBBNews=뉴스1 |
하지만 당시 보스턴의 팀 연봉 총액은 전체 MLB 구단 가운데 3위였다. 3년 뒤 다시 한 번 보스턴이 월드 시리즈 정상에 올랐을 때도 팀 연봉 총액은 2위였다. 한 마디로 월드 시리즈 패권을 잡으려면 상당한 구단의 투자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의미다.
지난 20년 동안 팀 연봉 총액 5위권 이내의 구단이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것은 9번이었고 6~10위 사이의 구단이 우승한 경우는 3번이었다. 팀 연봉 총액 10위권 이내 구단의 우승 확률은 60%(12/20)였던 셈이다.
한편 팀 연봉 총액 11~15위 사이의 구단의 월드시리즈 우승은 지난 20년간 8번이었으며 16위 이하 15개 구단의 우승은 단 한차례도 없었다. 16위 이하 구단이 월드시리즈에 진출한 경우는 지난 20년 동안 7번 있었지만 하나같이 연봉 총액 상위 팀에 패했다. 이른바 '머니 볼'의 기적이 월드 시리즈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던 셈이다.
올 시즌 클리블랜드가 과연 확률 0%를 깨고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할 수 있을지 더욱 주목되는 이유다.
![]() |
이종성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