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종옥의 "짐승들" vs 모두 다의 "짐승남"

[김관명칼럼]

김관명 기자 / 입력 : 2010.01.21 15:22
  • 글자크기조절
image
배종옥(왼쪽), 택연
'말'(言)이란 건 알코올 같은 모양이다. 현재의 내포된 이미지가 언제 휘발될지 모르니까.

요즘 유행하는 '짐승남'. 가요나 드라마, 영화를 보면 이 세상의 모든 남자가 갖춰야 할 최고의 덕목으로까지 떠오른 키워드가 바로 '짐승남'이다. 방송 5회만에 시청률 30%를 넘긴 KBS 인기사극 '추노'의 주인공 장혁과 오지호는 '짐승남'으로 추앙을 받고 있고, 남성 아이돌 그룹 2PM 역시 '짐승돌'이라는 이름으로 여동생, 누나, 이모팬들로부터 극찬을 받고 있다. 하여간 요즘 남성에 대해 갖다 붙일 수 있는 최고의 형용사는 '짐승남'이라는 거.


그러나 사실, 용어 정리가 제대로 안돼서 그렇지 이 '짐승'이라는 말은 '나쁜 남자', '수컷', '야생', '날 것' 등과 거의 혼용돼서 쓰이는 것 같다. 거칠게 말하면, 지난 2001년 김규완 작가의 '피아노'에서 주인공 조재현이 처음 퍼뜨린 '나쁜 남자'의 몽환적 아우라가 꼭 10년만에 대중문화 전반을 강력히 감염, 정복, 굴복시킨 셈이다. 현재의 여리고 예쁘장하고 귀엽기만 한, 심지어 눈화장까지 한 남성들에 대한 조롱 아니면 무시, 그것도 아니면 점잖은 타이름일까.

하지만 좀 더 파고들면 이 '짐승'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남성한테 할 수 있는 거의 최고의 욕에 가까운 호칭이었다. 뭐랄까, 세심한 도덕이나 남에 대한 배려 없이 본능에만 충실한 육식동물 같고, 게걸스럽고, 흉악하고, 온 몸엔 남한테 상처만 안길 뻣뻣한 털만이 그득할 것 같은 그런 무엇. 구태여 설명하지 않더라도 이 '짐승'에 대한 외연은, 점잖은 유교사회를 지향했던 그리고 그 잔재의 교육에서 똑부러지게 자유롭지 못했던 대한민국에서는, 플러스보다는 마이너스에 가까웠다.

대표적인 게 지난 2007년 SBS를 통해 방송됐던 김수현 드라마 '내 남자의 여자'다. 다들 기억하시겠지만 이 드라마는 김희애가 몰락시킨 두 평온한 부부 김상중-배종옥의 이야기다. 김희애가 김상중을 꼬셔 바람을 피웠다. 문제는 김상중의 아내가 김희애의 여자친구라는 것. 꼭지가 돌아버린 배종옥한테 김희애가 천연덕스럽게 그런다. "내가 한 불륜은 사랑이야", "네가 뭔데 웬 간섭이니?"


악에 바친 우리의 배종옥이 어렵게, 제 속의 온갖 분노를 담아 힘들게 폭발시킨 대사는 이랬다. 김희애가 천연덕스럽게 "네 남편이 뜨거웠다"라고 우아 떨며 말한 직후다.

"이 짐승들!!"

결국, 2007년만 해도 '짐승'이라는 말이 가진 아우라는 이랬다는 거다. 온갖 저주를 담아 퍼부을 수 있는 그 지고지악한 욕, 선량한 우리들이 결코 그렇게 되어서는 흉내 내서도 안될 그 혐오스러운 형태가 바로 '짐승'이었다. 배종옥의 말에 맞받아친 우리의 김희애 대사 역시 "행복한 짐승이지!"라고 했던 걸 보면, 더욱 그렇다. 배종옥의 언니인 하유미는 이 "행복한 짐승"이라는 말에, 예의 그 성격 그대로 "이 나쁜 기집애"라고 발끈했으니까.

그러나 불과 3년 후인 2010년, '내 남자의 여자'와도 같은 상황에서 과연 분노의 종합선물세트를 날리는 한 여자가 "이 짐승들"이라는 말을 쓸 수 있을까. '짐승남' 택연이 여성 연예인 스타들의 이상형으로 쏜꼽히고, 남성 아이돌 그룹 이름이 아예 '비스트'이며, 유행하는 스타들의 화보 촬영 컨셉트가 '짐승남'인 이 마당에. 설마 다른 우리에 갇힌, 내 영역엔 아직 침범하지 못한 짐승이라서 아직 여유로운 걸까. 우리 영역엔 '초식남'이 아장아장 걸어 다니고 있어서?

아무 때나 '짐승남' 쓰지 말자는 얘기다.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