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억 기부' 신영균 "돈이 다가 아냐"

김현록 기자 / 입력 :
  • 글자크기조절


한국영화 발전을 위해 500억 상당의 재산을 기부한 원로배우 신영균(82)이 기자회견을 통해 이를 결심한 배경을 밝혔다.

신영균은 5일 오후 5시 서울 충무로 명보극장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 과거 힘들었던 영화 촬영기를 털어놓으며 "영화를 찍다가 죽으면 명예라고 생각하고 목숨을 바쳤지만 가족은 어떻게 하나. 가족을 위해 사업을 해야겠다 생각을 하고 처음 시작한 것이 명보극장 옆의 작은 명보제과였다"고 말했다.


신영균은 "집사람이 스케줄을 잡고 다 챙겨줬다. 그러다 약 35년 전 명보제과를 인수했다"며 "영화배우로서는 어려운 꿈을 이뤄낸 것이다"고 전했다.

신영균은 "누구는 제게 재벌 재벌 하는데, 영화배우로서 돈이 있다 하지만 재벌은 아니다. 일반 사람 돈 있는 사람에 비하면 신영균이는 100분의 1, 1000분의 1이 안 될 것이다"며 "그러나 이 돈이 다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신영균은 "나를 이렇게 만들어 주고 내가 잘 살 수 있게 축복해 준 하나님께도 감사하고, 또 후배들을 위해서. 내 나이 80이 넘었으니 좋은 일을 하고 가야할 것 아니냐는 생각을 오래 전부터 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신영균은 "요즘엔 중심가 극장이 안된다. 국도극장도 오피스 건물이 되고 스카라 극장도 호텔이 됐다"며 "영화의 거리에 명보극장이 제일 가까이 있다. 명보극장까지 다른 걸 하면 안되지 않겠느냐 해서 가족 회의를 했다. 아들이 영구히 보관하는 것이 좋겠다 사회에 기부토록 하자고 하더라. 재단을 만들자고 했다"고 설명했다.

신영균은 유서 깊은 복합공연시설 명보극장(명보아트홀)과 국내 최초, 국내 최대의 영화박물관인 제주 신영영화박물관 등 500억 상당의 재산을 영화계 및 문화예술계에 기증할 뜻을 밝혀 화제가 됐다.

황해도 출신인 신씨는 치과의사를 거쳐 1960년 '과부'로 영화계에 데뷔, '연산군'(1961), '빨간 마후라'(1964), '물레방아'(1966), '미워도 다시 한 번'(1968) 등 총 294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1970년대 후반까지 한국영화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한국예술단체총연합 회장과 15·1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