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작(前作) 5편에서 찾은 '어벤져스' 퍼즐 37조각

김관명 기자 / 입력 : 2012.04.28 08:23
  • 글자크기조절


25일 개봉한 조스 웨던 감독의 '어벤져스'. 슈퍼 히어로들이 떼거리로 나오는 SF 액션 블록버스터니까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재미있게 봐도 된다. 더욱이 3D 영화다.

하지만 '인크레더블 헐크' '아이언맨' '아이언맨2' '토르: 천둥의 신' '퍼스트 어벤져' 등 최근 몇 년 사이 개봉한 유사 슈퍼 히어로물을 봤던 관객이라면 조금은 '생각'이 필요하다. 더욱이 이번 '어벤져스'가 이들 전작 5편의 설계를 바탕으로 축조된 큰 완성형 퍼즐인 사실을 안다면 더 많은 '생각'과 '관찰'은 필수다.


해서 전작 5편에서 이번 '어벤져스'를 암시한 단서가 어떤 게 있었는지 찾아봤다. (기사 성격상 이들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됩니다. 다만 '어벤져스'는 기초적 내용을 제외하고는 스포일러 우려 때문에 설명을 최소화했습니다)

'어벤져스'에서 맹활약한 닉 퓨리(사무엘 L. 잭슨), 토니 스타크/아이언맨(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브루스 배너/헐크(마크 러팔로), 토르(크리스 헴스워스), 스티브 로저스/캡틴 아메리카(크리스 에반스), 클린트 바튼/호크 아이(제레미 레너), 나타샤 로마노프/블랙 위도우(스칼렛 요한슨), 로키(톰 히들스턴)의 조각들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전작에 흩어져 있었을까.

또 이들 슈퍼 히어로들을 한 데 모은 국제평화유지기구 '쉴드'(SHIELD. Strategic Homeland Intervention Engagement and Logistics Divison)는 각 영화에서 어떻게 조심스럽게 자신과 어벤져스의 존재를 알렸을까.


참고로 단서는 각 영화들의 개봉 순서로 정리했지만, 개봉시기와 이들 단서간의 선후 구분은 무의미하다. 이를 연대기적으로 맞추다가는 죽도 밥도 안된 채 헤맬 게 뻔하다. 예를 들어 2008년 6월 개봉(이하 한국개봉일 기준)한 '인크레더블 헐크'에 등장한 '어벤져스'의 단서들이, 2011년 7월 개봉한 '퍼스트 어벤져'보다 '역사적' 혹은 '시기적'으로 앞서는 게 절대 아니라는 얘기다.

아이언맨(2008년 4월 개봉)

'아이언맨'에 등장한 닉 퓨리 국장
'아이언맨'에 등장한 닉 퓨리 국장


1. 영화 막판, 토니 스타크가 아이언맨으로 맹활약한 후 기자회견장. 이곳에 처음으로 국제평화유지기구 쉴드의 요원이 등장한다. 토니 스타크는 이 요원에게 자신도 쉴드에 가입하겠으며 그들을 돕겠다고 말한다.(=쉴드 조직의 첫 등장.)

2. 엔딩 크레디트가 다 올라간 후, 소위 쿠키영상에서. 토니 스타크가 집에 왔는데 거실에 한 사람이 서 있다. 발코니 유리창을 통해 먼 바다를 보던 이 사람, 토니 스타크에게 한마디 한다. "이 세상에 슈퍼 히어로가 당신뿐이라고 생각하나?" 얼굴을 돌려보니 바로 사무엘 L. 잭슨이다. 토니 스타크가 묻는다. "당신 누구요?" 사무엘 L. 잭슨이 답한다. "쉴드의 닉 퓨리 국장이다. '어벤져 이니셔티브'(Avenger Initiative)에 관해 얘기하러 왔다."(=닉 퓨리의 첫 등장, 슈퍼히어로들의 집합체로서 어벤져스의 암시.)

인크레더블 헐크(2008년 6월 개봉)

3. 썬더볼트 장군(윌리엄 허트)이 헐크(이 영화에서는 에드워드 노튼)의 활약상에 깜짝 놀란 블론스키(팀 로스)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하는 대목.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에는 '보병무기개발' 프로그램이란 게 있었고, 이 중 하나가 '슈퍼솔저'(Super Soldier) 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생체공학적 근력강화' 프로그램이었다.(='퍼스트 어벤져'에서 허약했던 스티브 로저스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이 슈퍼솔저 프로그램으로 파워풀한 캡틴 아메리카로 변신하는데 성공했다.)

4. 썬더볼트 장군의 이어지는 증언. "5년 전쯤, 이 슈퍼솔저 프로그램을 다시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때 과학자 브루스 배너를 끌어들였다. 그런데 뭔가 잘못되기 시작했다."(=헐크의 탄생.)

5. 영화가 좀 진행된 후 썬더볼트 장군 팀은 브루스 배너가 타인에게 보낸 이메일을 가로채는데 성공한다. 이때 도움을 준 조직은 다름 아닌 쉴드였다.(='아이언맨'에 이어 2회 연속 등장한 쉴드.)

'인크레더블 헐크'에 나온 토니 스타크
'인크레더블 헐크'에 나온 토니 스타크


6. 영화 마지막, 썬더볼트 장군이 사복차림으로 바에서 술 한 잔 하고 있는 장면. 문이 열리더니 토니 스타크(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들어온다. 브루스 배너를 놓친 것에 대해 위로하는 척 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슈퍼솔저 프로그램은 그만 하시라. 다 이유가 있어서 (과거에) 폐지됐던 것이다."(=아이언맨은 진작에 슈퍼솔저 프로그램을 알고 있었다. 당연하다. 그의 아버지 하워드 스타크가 1940년대 슈퍼솔저 프로그램에 관여했으니까. 이는 '퍼스트 어벤져'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이어지는 토니 스타크의 제안. "우리는 지금 작은 팀을 만들고 있다. 분명 당신이 흥미를 가질 만할 것이라 생각한다."(=쉴드 주도의 '어벤져스'를 구체적으로 언급. 그것도 아이언맨이 직접!)

아이언맨2(2010년 4월 개봉)

'아이언맨2'에 등장한 나타샤 로마노프
'아이언맨2'에 등장한 나타샤 로마노프


8. 토니 스타크가 스타크 주식회사 CEO 자리를 페퍼(기네스 펠트로)에게 넘겨 준 후 다음 장면에서 나탈리 러시맨(스칼렛 요한슨)의 첫 등장.(=쉴드 특수요원 블랙 위도우로서 스칼렛 요한슨의 첫 등장.)

9. 로즈(돈 치들)와 한 판 슈트 대결을 펼친 토니 스타크, 매장에서 도너츠를 먹고 있는 장면. 갑자기 닉 퓨리(사무엘 L. 잭슨)가 등장. 토니 스타크는 그러나 닉 퓨리에게 "나는 여전히 당신 팀에 합류하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이에 대한 닉 퓨리의 대답. "당신이 혼자 플레이하고 싶다는 걸 안다."(='어벤져스'에서 아이언맨의 까칠한 성격을 미리 알 수 있는 대목.)

10. 이어지는 닉 퓨리 국장의 폭로. "나탈리 러시맨의 본명은 나타샤 로마노프이며, 토니 스타크를 그림자처럼 감시하라는 임무를 부여받은 쉴드 요원이다."(=쉴드 요원으로서 블랙 위도우의 본명 첫 언급.)

11. 또 이어지는 닉 퓨리 국장의 힌트. 토니 스타크의 아버지가 과거 이반(미키 루크)의 아버지를 구 소련으로 강제 추방했을 당시 중책을 맡았다는. 그리고 그가 쉴드 창립을 크게 도왔다는.(=닉 퓨리는 이미 토니 스타크의 아버지를 알고 있었다! 그리고 토니 스타크의 아버지가 쉴드 창립에 관여했다!)

12. 이후 닉 퓨리는 토니 스타크 옆에 필 콜슨 요원(클락 그레그)을 남겨두고 떠남.(=여러 작품에서 생각 이상으로 대단한 활약을 펼친 필 콜슨 요원의 첫 등장. '어벤져스'에서도 슈퍼 히어로들을 일치단결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함.)

13. 토니 스타크가 닉 퓨리 국장이 남겨놓고 떠난 아버지 유품을 살펴보는 대목. 아버지가 설계한 미래도시 모형에서 자신의 에너지원인 소형 원자로(가슴 중앙에 있는)를 대체할 새 아이디어를 발견.(=원래 소형 원자로는 아이언맨의 파워를 가능케 한 동시에 토니 스타크의 생명을 단축시키는 양날의 검이었다. 이 소형 원자로의 업그레이드 가능성을 첫 언급, 아이언맨 팬들을 환호케 했다.)

14. 필 콜슨 요원, 토니 스타크에게 이런 말을 함. "닉 퓨리로부터 뉴멕시코로 가라는 새 임무를 부여받았다."(=뉴멕시코는 '토르: 천둥의 신'에서 토르(크리스 헴스워스)의 절대무적 망치인 묠리르가 천계 아스가르드에서 지구로 떨어져 박혀 있던 장소임.)

'아이언맨2'에 등장한 캡틴 아메리카 방패
'아이언맨2'에 등장한 캡틴 아메리카 방패


15. 필 콜슨 요원, 그러면서 토니 스타크의 실험실 구석에 있던 방패를 발견. 그러나 토니 스타크는 이를 아무렇지도 않게 개발중인 원자로 받침대로 사용, 평형을 맞춤.(='퍼스트 어벤져'에서 캡틴 아메리카가 사용하는 방패의 첫 등장. 그러나 이 장면에서 방패는 뼈대가 그대로 드러난 미완성품이었음.)

16. 영화 막판, 토니 스타크와 닉 퓨리의 대담 장면. 닉 퓨리는 토니 스타크를 어벤져스 이니셔티브의 자문위원으로 활용키로 결론 내림. 이때 화면에 등장한 서류 제목은 '어벤져스 평가 보고서'.(=나타샤 로마노프가 작성한 토니 스타크 보고서도 이 보고서에 포함됐을 것으로 보임.)

17. 쿠키영상에서. 필 콜슨 요원, 뉴멕시코에서 핸드폰으로 전화. "국장님, 찾았습니다." 이때 화면에 등장한 커다란 망치.(='토르'에서 토르가 휘두르는 바로 그 묠니르의 첫 등장.)

토르: 천둥의 신(2011년 4월)

18. 뉴멕시코 사막에서 한 남자가 하늘에서 떨어짐. 이를 여주인공(나탈리 포트만) 일행이 발견.(=천둥의 신 토르(크리스 헴스워스)의 첫 등장.)

19. 서기 965년 노르웨이로 플래시백. 천계 아스가르드에서 토르가 묠니르를 휘두르며 아버지 오딘(앤소니 홉킨스)을 찾아감. 동생 로키는 이를 그저 바라보기만 함(=지구로 추방되기 전 토르의 상당히 거만한 모습과 로키의 은근 소심하고 나약한 모습, 지구에 떨어지기 전 묠니르의 묵직한 외양에도 주목!)

20. 오딘, 이러저러한 이유로 토르를 지구로 추방함. 지구에 떨어진 토르를 나탈리 포트만이 병원으로 옮기기 위해 자리를 뜨자마자 묠니르도 멀지 않은 곳에 떨어짐(=웰컴 투 어스, 토르&묠니르!)

21. 이 사이, 로키(톰 히들스턴)가 아스가르드의 국왕이 됨. 로키가 알고보니 오딘의 아들이 아니라 라우피(아스가르드와 싸웠던 요튼하임의 프로스트 자이언트 종족 우두머리)의 아들로서 오딘이 입양했다는 사실도 폭로됨.(=막장드라마의 흔적? 로키의 출생 비밀 공개.)

22. 필 콜슨 요원, 뉴멕시코에서 묠니르 발견(='아이언맨2' 쿠키영상과 연결됨.)

23. 쉴드가 나탈리 포트만 일행의 연구소를 압수수색해감.(=필 콜슨 요원이 토르와 묠니르의 존재를 보고한 직후로 추정. 또 쉴드가 움-직-인-다!)

'토르: 천둥의 신'에 등장한 호크 아이
'토르: 천둥의 신'에 등장한 호크 아이


24. 토르가 지구에 떨어져 박혀 꼼짝도 안하는 묠니르를 빼내려는 장면(이미 추방 당시 초인적 힘이 상실된 상태였기 때문에 실패함). 토르를 화살로 겨냥하는 호크 아이(제레미 레너)의 등장=('어벤져스'의 슈퍼히어로 중 한 명인 호크 아이의 첫 등장.)

25. 로키가 지구로 보낸 거인병기 '디스트로이어'. 쉴드 요원들은 이를 토니 스타크가 만든 것으로 오해함.(=유머코드로 삽입된 것이지만 끊임없이 '아이언맨'과 연결시키려는 의도가 가상하다!)

26. 쿠키영상. 쉴드 지하요새로 간 에릭 박사(스텔란 스카스가드), 닉 퓨리 국장(사무엘 L. 잭슨)과 조우. 퓨리 국장이 '큐브'를 보여줌. "이게 뭐냐?"는 에릭 박사의 질문에 "파워(power)"라고 답하는 퓨리. 이때 에릭과 오버랩되는 로키의 얼굴!(=죽은 줄 알았던 로키의 부활. '퍼스트 어벤져'와 '어벤져스'에서 핵심 키워드가 되는 정육면체 모양의 무한 에너지원 '큐브'의 등장. '퍼스트 어벤져'에 보면 2011년 캡틴 아메리카가 빙하에서 발견되는데 이때 큐브도 함께 쉴드 수중으로 들어간 것으로 추정됨.)

퍼스트 어벤져(2011년 7월 개봉)

27. 영화 시작하자마자 혹한속 거대한 전함, 얼음덩어리에서 발견된 방패.(=캡틴 아메리카(크리스 에반스)의 무적 부메랑 방패의 등장. 이곳에서 2차 세계대전 때 실종된 캡틴 아메리카를 발견한 것으로 추정.)

'퍼스트 어벤져'에 등장한 큐브
'퍼스트 어벤져'에 등장한 큐브


28. 1942년 노르웨이. 나치 고위장교 요한 슈미트(휴고 위빙)가 고대 바이킹 유물에서 오딘의 보물이라는 '큐브'(Tesseract)를 강탈해감.(='토르: 천둥의 신' 쿠키영상에 나온 큐브를 떠올려 보시라! 결국 '어벤져스'에서 토르가 외계 용병부대 치타우리 종족을 지구로 끌어들인 미끼도 이 큐브였다. 그리고 아스가르드와 지구를 연결시키는 차원의 문(포털)을 열게 해준 것도 큐브의 가공할 능력이었다.)

29. 스티브 로저스(크리스 에반스), 군입대 전 놀러간 뉴욕 세계박람회에서 토니 스타크의 아버지인 하워드 스타크(도미닉 웨스트)를 우연히 봄. 하워드 스타크는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대해 장황히 설명하는 중.(=오, 하워드 스타크!)

30. 스티브 로저스, 당시 미국 정부의 최신 슈퍼솔저 프로그램에 참가. 이 프로그램 담당자인 어스킨 박사(스탠리 투치)가 스티브 로저스에게 말한다. "독일에서 과학자로 일할 당시, 요한 슈미트가 초강력 힘을 낼 수 있는 혈청을 개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혈청이 완성된 순간 요한 슈미트가 본인에게 주입했고 부작용으로 온 피부가 부식돼 없어지고 빨간 뼈만 남게 됐다."(='레드 스컬'(Red Scull) 탄생 비화. 따지고 보면 슈퍼솔저 프로그램 초기 피실험자는 '레드 스컬' 요한 슈미트였다는 것!)

'퍼스트 어벤져'에 등장한 하워드 스타크
'퍼스트 어벤져'에 등장한 하워드 스타크


31. 스티브 로저스가 슈퍼솔저 프로그램이 작동할 캡슐에 들어가기 전 눈에 띈 인물 한 명. 바로 하워드 스타크.(=역시 하워드 스타크는 슈퍼솔저 프로그램에 깊숙이 관여해 있었다)

32. 스티브 로저스, 더 크고 더 육중해져서 캡슐을 나옴.(=슈퍼솔저 프로그램의 완성, 캡틴 아메리카의 탄생.)

33. 하워드 스타크, 스티브 로저스에게 프로토타입의 캡틴 아메리카 방패를 보여줌. "비브라늄은 철보다 가볍다네."(=캡틴 아메리카, 드디어 방패를 만나다)

34. 여차저차 해서 캡틴 아메리카와 레드 스컬이 비행기 위에서 싸우는 장면. 레드 스컬이 조종석에 있던 '큐브'를 꺼내 든 순간, 하늘에서 차원의 문(포털)이 열리더니 레드 스컬이 그 속으로 빨려 들어감. 캡틴 아메리카는 비행기와 함께 빙하로 추락.(=큐브의 가공할 능력 확인. 이는 '어벤져스'에서도 또 한 번 확인된다. 영화 첫 화면으로 연결.)

35. 2011년에 깨어난 캡틴 아메리카/스티브 로저스. 이때 등장한 닉 퓨리 국장(사무엘 L. 잭슨), 스티브 로저스에게 말한다. "자네는 70년 동안 빙하에서 잠들어 있었네."(=캡틴 아메리카의 부활. 그리고 이에 역시나 쉴드가 관여했음을 확인.)

36. 쿠키영상. 스티브 로저스, 체육관에서 샌드백을 치고 있음. 닉 퓨리, 또 나타나 새로운 미션이 기다리고 있음을 암시함. "이제 자네가 나설 차례네, 캡틴." 그리고 토르, 토니 스타크, 호크 아이, 블랙 위도우, 브루스 배너 등의 모습이 화면에 보임.(=캡틴 아메리카도 '어벤져스' 일원이 됐음을 선포. 샌드백 장면은 '어벤져스'에서도 재활용됨.)

37. 마지막으로 스티브 로저스에게 던진 닉 퓨리의 한마디. "그들은 모두 준비됐어(They're up)."(='어벤져스' 개봉일을 알림. 그것도 쉴드 닉 퓨리 국장이 직접!)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