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클래식'은 2006년 서비스를 시작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오리지널'의 게임성을 살린 타이틀이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총괄 프로듀서 존 하이트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팬들과 커뮤니티에 대한 러브레터 같은 게임이다. 그들이 이를 원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를 설득했다."라며, 오는 8월 27일 출시될 것임을 알렸다.
![]()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총괄 프로듀서 존 하이트 |
또, 정식 서비스 이전에 캐릭터명을 예약할 수 있는 페이지도 오픈한다. 해당 페이지에서는 최대 3개의 캐릭터명을 예약할 수 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15주년을 기념해 특별 소장판이 제작된다. 소장판은 라그나로스 스태츄와 한정 탈것인 '순백의 천둥날개(호드)', '순백의 폭풍발톱(얼라이언스)' 등을 포함하고 있다. 소장판은 차주부터 주문을 받고, 배송은 10월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 |
월드 오브 워크래트프 15주년 소장판 |
![]() |
이언: 그렇다고 볼 수 있다. 콘텐츠 장벽 해제 순서도 오리지널과 동일한 페이스로 진행될 예정이다. 또, 당시의 이벤트를 그대로 플레이하고 업적도 얻을 수 있다.
- 지금의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비해 오리지널의 시스템은 상당히 불편하다. 이런 플레이 방식이 그대로 유지되나?
이언: 기존 플레이 방식을 그대로 유지한다. 프레임은 높아지고 일부 변경되는 부분도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오리지널 특유의 게임 방식과 탐험 방식, 소셜 시스템 등 핵심은 그대로 유지하고자 한다. 지금의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와 구분되는 개성이기 때문이다.
- 업데이트 페이스는 오리지널 당시와 동일하다고 했는데, 어떤 콘텐츠까지 업데이트가 이뤄지는가?
이언: 오리지널 시작 이후 2년여간의 추가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려고 한다. 추후 플레이어들의 콘텐츠 소모 속도나 즐기는 형태, 커뮤니티의 반응에서 긍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면 추가 업데이트도 고려하고 있다.
![]() |
이언: 기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계정이 있으면 바로 플레이할 수 있다.
- 현재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시스템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도 있는가?
이언: 기본적으로 오리지널에 충실하고자 하며, 당시의 경제나 환경을 유지하려고 한다. 하지만 캐릭터를 보는 방식, 우편에서 여러 아이템을 옮긴다거나 하는 소통, 상호작용 부분에서의 편의성은 조금 보완한 측면이 있다.
![]() |
이언: 2006년 당시엔 가능했지만 지금은 안 되는 것도 있다. 대상을 알아서 지정해 주문을 시전하는 등 자동 플레이 시스템이 만들어지면 게임 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그래서 클래식에서는 불가능하다.
- 직업이나 종족 별 밸런스는 1.12 패치 기준이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이언: 오리지널을 생각했을 때 가장 완성돼 있고 정제된 빌드라고 생각했다. 선정에는 직업 특성이나 아이템에 대한 커뮤니티의 의견을 취합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