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정후가 훈련을 준비하고 있다. |
![]() |
이정후. /사진=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구단 공식 SNS |
미국 매체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은 15일(한국시간) "밥 멜빈 샌프란시스코 감독은 이정후가 시즌 시작부터 라인업의 선두로 나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 시즌을 앞두고 취임한 멜빈 감독은 이정후에 대해 "만약 그가 개막전 1번 타자로 나서지 않는다면 그것이 충격받을 일이다"며 톱타자 배치를 기정사실화했다. 멜빈 감독은 이정후에 대해 "인플레이 타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삼진이 많아진 현대야구에서 이런 모습은 보기 좋다. 강한 타구가 나오지 않아도 땅볼을 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며 타격 스타일에 대해 설명했다.
멜빈 감독은 과거 시애틀 매리너스 사령탑 시절(2003~2004년) 인연을 맺은 스즈키 이치로(51)와 이정후를 비교했다. 그는 "이치로가 앞발을 더 많이 움직이기는 하지만, 배트에 공을 맞히는 방식은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멜빈 감독은 "난 그동안 수많은 일본 선수와 한솥밥을 먹었고, 샌디에이고에서는 김하성과 함께 지냈다"고 말하며 "이정후가 얼마나 빨리 적응하게 될지, 얼마나 편안함을 느낄지 이미 눈에 선하다"고 했다. 특히 이정후의 외향적 성격을 언급한 그는 "보통은 주위를 둘러보고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이정후는 쉽게 대화할 수 있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며 "지금까진 모든 게 좋다"고 이야기했다.
![]() |
이정후가 타격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
감독의 이같은 말을 전해 들은 이정후는 "한번도 꿈꿔본 적 없는 일이다"며 감격했다. 그러면서 "멜빈 감독에게 그 말을 듣고는 더 노력하기로 했다"고 각오를 다졌다.
만약 이정후가 계획대로 개막전부터 1번 타자로 나선다면 한국 야구 역사에 남을 날이 될 전망이다. 샌프란시스코는 오는 3월 29일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펫코 파크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개막 4연전을 치른다. 샌프란시스코는 시즌 첫 시리즈고, 샌디에이고는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LA 다저스와 '서울 시리즈'를 치르고 돌아와 맞이하는 홈 개막전이다.
샌디에이고는 현재 김하성(29)이 1번 타순에 나올 가능성이 높다. 그는 지난해 152경기에서 타율 0.260(538타수 140안타) 17홈런 60타점 84득점 140안타 38도루 OPS 0.749의 기록을 냈다. 타선에서 생산력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6월 이후 꾸준히 1번 타자로 나왔다. 만약 김하성과 이정후 모두 개막전부터 톱타자로 나온다면 흥미로운 맞대결이 될 전망이다
![]() |
지난해 11월 김하성(왼쪽)과 이정후가 한국시리즈를 함께 관람하고 있다. |
사실 멜빈 감독은 이미 영입 당시부터 이정후를 1번 타자로 점찍었다. 미국 매체 NBC 스포츠 베이에어리어에 따르면 멜빈 감독은 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이정후를 영입한 이후 몇 가지 라인업을 구상해봤다. 1번 타자는 이정후가 해봤던 경험이 있어 편할 것이다. 지금으로선 안 될 이유가 없다"며 개막전 리드오프 출격을 예고한 바 있다.
당시 멜빈 감독은 "이정후는 훌륭한 인성이 보였고, 샌프란시스코의 일원이 되는 것에 만족했다"면서 "나에게나 우리 팀에나 모두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정후의 영입은) 오프시즌의 만족스러운 출발을 알렸다"며 기뻐했다.
![]() |
이정후가 1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샌프란시스코의 스프링캠프가 있는 미국 애리조나로 출국하기 전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앞서 이정후의 훈련 영상도 화제가 된 바 있다. 오렌지색 샌프란시스코 모자를 쓰고 반바지 차림으로 나와 타격 연습을 진행하는 영상이 MLB 공식 SNS에 업로드됐고, 이 영상은 X(구 트위터)에서 업로드 7시간 만에 조회수 20만 회를 넘기며 인기를 끌었다.
![]() |
MLB 공식 SNS에 올라온 이정후의 타격 훈련 모습. /사진=MLB 공식 SNS |
MLB.com은 같은 날 샌프란시스코의 스프링 트레이닝 관전 포인트에 대해 분석하면서 "메이저리그 투수들의 빠른 볼에 대한 적응 기간이 필요하다"면서도 "그래도 샌프란시스코는 이정후의 뛰어난 콘택트 기술이 생산력 있는 타자로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샌디에이고에서 놀라운 시즌을 보낸 김하성의 성공 신화를 재현할 것이라 확신한다"고도 했다.
이정후는 지난해 12월 샌프란시스코와 2027시즌 종료 후 옵트 아웃 조건을 포함하는 6년 1억 1300만 달러(약 1500억 원)의 대형 계약을 맺었다. 이는 역대 아시아 타자 최고 몸값이었다. 세부적으로는 계약금 500만 달러(약 66억 원)에 계약 첫해인 2024년 700만 달러(약 92억 원), 2025년 1600만 달러(약 212억 원), 2026년과 2027년 각각 2200만 달러(약 292억 원)를 받고 2028년과 2029년에는 2050만 달러(약 272억 원)를 받는다.
총액 1억 달러 이상 계약은 이번 FA 시장에서 이정후를 포함해 단 4명만이 받았다. FA 최대어였던 오타니 쇼헤이(30)가 LA 다저스와 10년 7억 달러(약 9330억 원)라는, 메이저리그를 넘어 북미 4대 프로스포츠 최고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다저스는 또한 일본프로야구(NPB) 최고의 투수인 야마모토 요시노부(26)에게도 역대 투수 최고액인 12년 3억 2500만 달러(약 4332억 원) 계약을 안겨줬다. 이외에는 애런 놀라(30)가 소속팀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7년 1억 7200만 달러(약 1506억 원)의 계약을 맺은 것이 끝이었다. 그만큼 이정후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걸 알 수 있다.
![]() |
샌프란시스코 이정후. |
지역 언론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은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 지역에서 주목할 15명의 야구인'을 선정했는데, 이 중에서 이정후의 이름도 있었다. 매체는 "한국에서 '바람의 손자'로 알려진 샌프란시스코의 새로운 중견수(이정후)가 기록지에 어떤 숫자를 남길지는 모른다"고 운을 띄웠다. 그러면서도 "이정후가 운동능력이 우수하고 활동적인 수비수이고, 뛰어난 콘택트 능력을 갖춘 올드스쿨형 타자라는 점 모두가 흥미롭다"며 이정후를 높이 평가했다. 아직 그라운드에서 첫 선을 보이지도 않았지만, 한국에서의 모습만 보고도 이정후의 능력을 인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기대감이 아닌 기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야구통계사이트인 팬그래프의 기록 예측 시스템은 뎁스 차트(Depth Chart)는 이정후가 2024시즌 134경기에 출전해 타율 0.291(581타수 151안타), 11홈런 54타점 78득점, 8도루 3도루실패, 53삼진 48볼넷 , 출루율 0.354 장타율 0.431, OPS 0.785, wRC+ 116, WAR(대체선수 대비 승리 기여) 3.2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 |
샌프란시스코 이정후가 타격 훈련을 준비하고 있다. |
또한 MLB.com은 낮은 삼진 비율에도 주목했다. 2024시즌 이정후는 전체 타석에서 9.1%의 삼진율이 나올 것으로 전망됐는데, 이는 아라에즈(7.1%) 다음으로 낮은 수치였다. 아라에즈가 2년 연속 타격왕에 오른 선수인만큼, 그정도의 콘택트 능력이 있다는 평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유망주 평가에서 공신력이 높은 것으로 인정받는 미국 매체 베이스볼 아메리카는 "이정후는 부드럽고 빠른 스윙을 가진 퓨어 히터(콘택트 능력이 좋은 선수)다. 자신만의 확실한 스트라이크존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메이저리그의 빠른 볼에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배트 스피드나 선구안, 부드러운 스윙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를 리그 평균 이상의 타자로 만드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고 했다. 이어 "루상에서는 평균 이상의 위협적인 주자이고, (수비에서는) 중견수를 볼 수 있는 스피드나 운동능력, 본성을 지니고 있다"며 이정후에 대한 평가를 마무리했다.
![]() |
이정후가 수비 훈련을 소화하고 있다. |
![]() |
이정후. /사진=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공식 SNS |
짧지만 너무도 높은 오른쪽 외야 담장, 여기에 역풍까지 불면서 오라클 파크는 좌타자가 장타를 때려내기 어려운 구장으로 정평이 났다. 실제로 MLB.com에 따르면 오라클 파크에 출전한 좌타자의 장타율은 0.369로, 이는 지난해 빅리그 홈구장 중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홈구장 펫코 파크(0.368)를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치다. 또한 스탯캐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파크팩터(100이 평균)에서 좌타자의 홈런 팩터는 84로 빅리그에서 6번째로 낮다.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홈구장 오라클 파크의 전경. /AFPBBNews=뉴스1 |
여기에 이정후 자체의 파워도 미국 현지에서는 그리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베이스볼 아메리카에서 발표한 스카우팅 리포트에서 20-80 스케일(선수 평가 척도)상 콘택트는 60점으로 평균 이상이 나왔지만, 파워는 45점이 나와 평균 이하라는 평가를 받았다.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구단이 만든 이정후의 그래픽. /사진=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공식 SNS |
데뷔 시즌인 2017년 622타석에서 단 2홈런에 그쳤던 이정후는 매년 꾸준히 홈런 개수를 늘려 2020년에는 처음으로 두 자릿수 홈런(15홈런)을 터트렸다. 특히 2022시즌에는 타율 0.349, 23홈런 113타점 OPS 0.996이라는 엄청난 성적으로 MVP를 차지했다. 콘택트 능력을 유지하면서 꾸준히 장타력을 올렸다. 기존에도 2루타는 많이 기록했지만, 이것이 홈런으로 변환되면서 20홈런 이상 시즌을 만든 것이다.
2023시즌에는 부상으로 86경기 출전에 그쳤고, 타율 0.318, 6홈런 45타점 OPS 0.861의 성적을 올렸다. 4월 한 달 동안 0.218의 타율을 기록하는 등 늦은 출발을 보인 이정후는 5월 0.305, 6월 0.374, 7월 0.435의 월간 타율을 보여줬다. 결국 6월 11일 3할 타율에 진입한 그는 꾸준히 페이스를 유지했다. 그러나 7월 22일 사직 롯데전에서 발목 부상을 당해 수술대에 올랐고, 시즌 막바지인 10월 10일 고척 삼성전에서 팬서비스 차원의 출전을 마지막으로 시즌을 마쳤다.
![]() |
이정후의 타격 모습. /사진=키움 히어로즈 |
이정후는 "한국에서 할 수 있는 훈련은 다 했다. 밖에서 할 수 있는 기술 훈련만 남았는데 따뜻한 곳으로 빨리 가서 하고 싶은 생각이 컸다. 실내에서 하는 훈련은 한계가 있다. 새로운 팀원들도 많이 못 만나봤고 모든 걸 먼저 가서 경험하고 싶었다. 샌프란시스코 구단에서도 훈련 시설을 쓸 수 있게 해준다고 해서 바로 애리조나로 가서 내일(2일)부터 훈련할 생각이다. 이미 마음가짐은 실전에 가깝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야구만 잘하면 된다"고 빠른 출국의 이유를 전했다.
이정후는 또한 "이제야 실감이 조금 난다. 원래 항상 팀원들과 함께 출국했는데 오늘(1일)은 또 혼자 나가게 됐다. 기분이 조금 이상하다"며 "오늘과 비교해 7년 전 스프링캠프 출국 때가 더 떨리는 것 같다. 그때는 정말 프로 선수로서 첫 시작이어서 떨리고 긴장됐는데 지금은 선배님들도 안 계시고 또 다른 내 꿈을 이루기 위해 떠나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은 떨림보단 기대감이 더 높은 것 같다"며 출국 소감을 밝혔다.
![]() |
이정후가 훈련장에 출근하고 있다. |
![]() |
이정후. /사진=좀보이 미디어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