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니자 탈라시. /AFPBBNews=뉴스1 |
![]() |
마니자 탈라시가 10일(한국시간) 프랑스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브레이킹 비걸 경기에서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에게 자유를(Free Afghan Women)'이라는 메시지를 펼치고 있다. /AFPBBNews=뉴스1 |
10일(한국시간) 프랑스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브레이킹 비걸 첫 경기에서 탈라시는 인디아 사르조에(네덜란드)에 패했다.
승패보다 더 관심을 끈 건 탈라시의 퍼포먼스였다. 경기 후 그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에게 자유를(Free Afghan Women)'라고 적힌 메시지를 펼쳐 보였다. 경기 도중에도 상의를 벗는 퍼포먼스를 했는데 안에 입은 옷에도 해당 문구가 적혀 있어 관중의 호응을 이끌었다.
하지만 경기 후 대회조직위는 탈라시에게 '점수 차에 의한 패'가 아닌 '실격 처분(DSQ)'을 내렸다. 탈라시의 행동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금지하는 '정치적 의사 표현'이었기 때문이다. IOC 헌장 50조에는 '올림픽 현장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시위나 정치·종교·인종적 선전을 할 수 없다'고 명시됐다.
첫 경기에서 탈락했지만 탈라시는 본인 행동에 후회가 없다며 자랑스러워했다. 그는 "나는 사람들에게 불가능이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퍼포먼스 의미를 설명했다.
분쟁 지역인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나고 자란 탈라시는 어렸을 적 인터넷을 통해 브레이크 댄스를 접했고 댄서의 꿈을 키웠다.
선수 생활과 브레이크 댄스를 접을뻔한 위기도 있었다. 2021년 텔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하면서 여성들의 스포츠 등 대외 활동이 금지됐다. 하지만 탈라시는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해 파키스탄을 거쳐 현재 스페인에 정착해 댄서의 꿈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