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토종 사모펀드라지만 외국 투기자본과 차이 없어"

김혜림 기자 / 입력 : 2024.12.02 17:09
  • 글자크기조절
image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의 국내 기업들의 적대적 M&A 시도 가능성이 높아지며 관련 기업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재계 3,4세로 넘어가면서 경영권 방어가 취약한 기업을 집중적으로 타깃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또한 국내 기업들을 타깃으로 하면서도 실제 수익은 해외 LP들로 흘러 들어가는 MBK의 특성상, 세금조차 대부분 해외에 납부하면서 이를 둘러싼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역외 탈세와 추징 등을 둘러싼 진위 논란이 계속 불거지고 있다.


지난 2021년 MBK파트너스를 이끄는 김병주 회장은 탈세 혐의로 고발을 당했고, 이후 국세청 조사와 함께 수백억 원의 추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매각 후 성과보수 1000억 원을 받고도 소득 신고를 장기간 누락했다는 것이 당시 김 회장에게 적용된 혐의다. 이와 관련해 MBK의 김광일 부회장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MBK가 추징을 당했다"는 사실을 고백했는데, 김병주 회장 관련 사안인지 여부는 여전히 불분명한 상황이다.

MBK파트너스와 김 회장을 둘러싼 잡음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앞서 한 시민단체는 미국 국적인 김 회장이 대부분의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한국에서 하고 있음에도 개인 소득세를 탈루했다는 주장을 지난해부터 꾸준히 제기해 왔다.

김 회장은 홍콩 투자은행(IB) 전문 매체인 아시아벤처캐피털저널(AVCJ) 인터뷰에서 "역동성을 추구하는 한국 시장은 (기업 지배구조) 변화가 조금 더 빠를 것 같다. 우리는 그 변화의 주체 중 하나가 되고 싶다"라고 밝혔다.


소유 기반이 취약한 대기업 집단들은 MBK발 적대적 M&A 시도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에 우려하는 분위기다. 다수의 국내 대기업들이 3,4세 오너 경영인으로 승계되는 과정에서 지배력이 취약해진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난 달 18일 MBK파트너스는 일본 도쿄에서 기관투자자 대상 연차 총회를 열고 6호 바이아웃펀드 2차 클로징까지 50억 달러(약 7조 규모)의 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6호 바이아웃펀드 목표액의 약 70% 이상으로 중동 등 해외 큰손들이 출자자의 대부분으로 중국과 중동 등 사실상 해외 자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늬만 외국인이 아니냐는 업계 의심이 있다. 실제 미국 국적인 김 회장과 MBK의 주요 임원들이 미국 시민권자라는 점도 이러한 측면을 부각시키고 있다.

한편, MBK가 과거 국내 대기업들을 공격했던 과거 론스타와 소버린의 악몽을 연상시킨다며 MBK가 외국 투기자본과 사실상 다를 바가 없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제2의 론스타와 소버린인 MBK의 적대적 M&A와 관련해 외국계 자본들로 구성된 사모펀드에 대해 보다 강력한 규제가 필요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