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
경정에서 입상 여부를 가리는 가장 큰 요인을 꼽는다면 선수의 기량, 모터 등이 있다.
선수의 기량과 모터의 성능이 가장 중요하고, 이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가 있으니 바로 코스다.
현재 경정은 배정받은 배번 그대로 코스에 진입하여 경주를 펼치는 고정 진입 방식으로 열리고 있다. 그래서 선수의 기량과 모터의 성능이 조금 떨어지더라도 코스의 이점을 활용해 입상에 성공하는 때도 많고, 반대로 기량이 뛰어난 강자라도 코스의 불리함을 극복하지 못하고 쉽게 무너지는 때도 있는데, 이는 경정 경주만이 가진 독특한 매력이다.
경정은 6명이 모터보트에 탑승해 경주를 펼치는데, 1~2번을 인 코스, 3~4번을 센터 코스, 5~6번을 아웃 코스로 나뉜다.
지난해 코스별 승률 기록을 살펴보면 1코스(37.4%), 2코스(22.8%), 3코스(16.3%), 4코스(12.4%), 5코스(7.7%), 6코스(3.4%)로 인 코스에서의 승률이 60%를 넘는 초강세를 보였다. 올해 초반 분위기도 대체로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어, 선수들이 인 코스를 배정받은 경주에서 승부수를 띄우는 경우가 많다.
또 거의 모든 정상급 강자는 인 코스를 배정받았을 때 입상에 성공하고 있다. 현재 10승을 거두며 다승 단독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완석(10기, A1)은 1~2코스 출전한 5번의 모든 경주에서 우승했고, 신인급 중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치는 선수인 정세혁(15기, A2)도 총 4회의 인 코스 출전 경기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다음 3~4번 센터 코스에 출전한 선수들의 승률은 30% 내외 수준으로, 입상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빠른 출발을 앞세워 인 코스 선수들을 휘감기(바깥쪽 선수가 안쪽 선수를 밀어붙이는 식으로 선행하여 바로 그 앞을 스치듯이 선회하는 방법)로 제압해 입상하거나, 인 코스 선수들의 빈틈을 파고들며 찌르기(턴마크에서 안쪽 선수가 선회할 때 그 바깥쪽에 있던 선수가 안쪽으로 치고 들어가서 제치는 방법)로 입상에 성공하고 있다. 이때 출발에 강점이 있는 선수들은 휘감기를 선호하는 편이고, 체중의 이점으로 직전에서 강점을 보이는 여자 선수들은 주로 찌르기로 입상하는 편이다.
마지막으로 승률 10% 내외 수준의 아웃 코스는 사실 그 어떤 선수라도 입상을 장담하기 쉽지 않은 코스다.
복수의 경정 전문가들은 "선수들 대부분이 자신의 경주방식에 맞는 주력 코스가 있고, 그 코스를 배정받은 경주라면 평소보다 강한 승리욕과 집중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