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 LG 선수단. /사진=KBL 제공 |
LG는 5일 오후 2시 울산 동천체육관에서 열린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와 2024~2025 KCC 프로농구 정규시즌 6라운드 원정경기에서 83-76 승리를 거뒀다.
이로써 시즌 전적 34승 19패가 된 LG는 2위 자리를 유지했고, 3위 수원 KT와도 1.5경기, 4위 현대모비스와는 2.5경기 차로 벌어졌다. 만약 2위를 확정지으면 3년 연속 기록이다. 같은 날 열리는 KT의 경기 결과에 따라 2위가 확정될 수 있다.
LG는 아셈 마레이가 24득점 20리바운드, 타마요가 21득점 8리바운드로 대활약했고, 양준석은 3점포 5방으로 초반 분위기를 가져왔다. 현대모비스는 게이지 프림이 19득점, 박무빈이 17득점으로 분전했으니 끝내 승부를 가져오지 못했다.
현대모비스는 박무빈-서명진-이우석-장재석-게이지 프림이 스타팅으로 나왔다. 이에 맞선 LG는 양준석-유기상-정인덕-칼 타마요-아셈 마레이가 베스트5로 출격했다.
두 팀은 현재 수원 KT와 함께 막바지까지 치열한 2위 싸움을 펼치고 있다. 이에 쌍둥이 형제인 조상현 LG 감독과 조동현 현대모비스 감독은 경기 전부터 치열한 설전을 펼쳤다. 지난 2년 동안 LG의 2위 확정 경기의 상대팀이었던 현대모비스 조동현 감독은 "양보할 때가 됐다"고 농담을 던졌고, 조상현 LG 감독도 "우리는 지름길을 좋아한다"며 2위 확정을 예고했다.
![]() |
게이지 프림. /사진=KBL 제공 |
그래도 LG의 저력이 1쿼터 후반부터 나왔다. 양준석이 연달아 3점포를 터트리며 21-19로 역전했다. 함지훈의 3점슛이 들어가며 현대모비스가 재역전에 성공하자 LG는 양준석이 장거리 쿼터 버저비터를 성공시키며 1쿼터를 24-23으로 리드하며 마쳤다.
이후 2쿼터는 LG의 시간이었다. 26-25에서 이경도의 득점으로 달아난 LG는 유기상(3점)과 박정현(2점)의 연속 득점으로 격차를 벌렸다. 현대모비스는 한호빈의 활약 속에 추격을 시작했으나, 좀처럼 연속 득점이 나오지 않았다. 리바운드에서 우위를 점하며 찬스를 만든 LG는 10점 차 이상을 만들었다.
![]() |
LG 양준석(오른쪽)이 환호하고 있다. /사진=KBL 제공 |
3쿼터 시작 후 LG는 타마요와 마레이가 번갈아 저수를 올리며 한때 12점 차까지 따라갔다. 하지만 현대모비스는 장재석이 골밑에서 힘을 내면서 반격에 나섰다. 파울이 쌓인 LG는 수비에서 에너지를 낼 수 없었고, 현대모비스는 장재석과 프림이 이를 이용해 상대를 압도했다. 박무빈의 득점과 이우석의 자유투로 맹렬히 쫓아간 현대모비스는 박무빈의 레이업 득점과 추가 자유투로 리드를 잡았다.
현대모비스는 야투가 들어가지 않아도 리바운드를 따내며 곧바로 점수를 올리는 모습이 연달아 나왔다. 박무빈이 활력소 역할을 했고, 프림도 파워를 보여줬다. 53득점에서 한동안 묶여있던 LG는 마레이의 골밑 득점에 이어 타마요도 레이업을 성공시켰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본부석이 샷클락이 리셋되지 않는 상황에서 다시 14초로 돌려놓는 실수를 저질렀고, 비디오 판독 끝에 득점을 취소시켰다. 이에 현대모비스는 61-55로 3쿼터를 마쳤다.
하지만 LG는 흔들리지 않았다. 4쿼터 초반 타마요가 추격의 연속 5득점을 올리며 순식간에 한 점 차로 쫓아갔다. 현대모비스는 이우석의 리버스 레이업 등으로 3점 차를 유지했지만, 타마요가 동점과 역전을 홀로 만들면서 LG가 다시 우위를 점했다. 수비에서도 상대를 잘 틀어막은 LG는 양준석의 쐐기 3점포까지 터지면서 11점 차를 만들어 쐐기를 박았다.
현대모비스는 함지훈이 활로를 뚫어주면서 쫓아가기 시작했고, 박무빈과 이우석도 득점에 가담해 한때 4점 차까지 쫓아갔다. 하지만 LG의 막판 리바운드가 제대로 이뤄지면서 리드를 끝내 지켜냈다.
![]() |
LG 칼 타마요. /사진=KBL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