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스타뉴스 |
꽃피는 봄이 왔지만 부동산 추세는 변하지 않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4월 넷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3% 상승했다.
하지만 상승세는 서울의 견인 덕분이다. 서울이 0.14% 올라 수도권(0.07%) 시세 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을 제외한 경기ㆍ인천 지역은 전주 대비 -0.01% 떨어졌다. 5대광역시는 -0.07%, 기타지방은 -0.08%를 기록하며 지방 위주로 약세가 두드러졌다.
전국 17개 시도 중 상승 4곳, 하락 13곳으로 하락 지역이 우세했다. △세종(0.30%) △서울(0.14%)이 0.10% 이상 상승하며 유의미한 추세를 보였다. 반면 전북(-0.32%) 강원(-0.18%) 충북(-0.16%) 경남(-0.15%) 경북(-0.13%) 등은 하향 조정됐다.
매매는 힘을 못 쓰지만 전세는 상승여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26% 올랐다. 서울 0.30%, 수도권 0.28%, 경기ㆍ인천 0.26%, 5대광역시 0.23%, 기타지방 0.15% 등 주요 권역 모두 상승세가 짙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 16곳이 올랐고, 제주지역 한 곳 만이 0.13% 하락했다.
오름폭이 큰 지역은 △세종(0.30%) △서울(0.30%) △경기(0.27%) △인천(0.25%) △부산(0.25%) 순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가 A는 "세종 상승세의 향배가 궁금하다.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6월 3일 장미대선의 효과로 짐작할 수 있다. 청와대의 이전을 통해 완벽한 행정수도로 거듭난다면 세종은 제2의 과천 지위를 갖게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공무원들이 세종 부동산을 끌어올리려는 의지만 있다면 세종은 '골드바'가 될 수 도 있다"고 전망했다.